전체 글103 2020.09.01_알고리즘_자릿수 더하기 2020.09.01_자릿수 더하기_알고리즘_정리 노트_ 오늘은 자릿수 더하기 알고리즘! 쉽고 간단하지만, 중요한 개념들이 많이 들어있고 개인적으로 다른 사람 풀이들이 너무 신박해 포스팅으로 남겨보기 ! 음.. 간단하게 for문으로 하나씩 빼서 더해버리면 안되나? 라고 생각하겠지만, for문은 반복가능한 객체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리스트, 튜플, 문자,range() 등등이 있다. 하지만 숫자는 반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for문에 넣을 수 없다! 그렇다면 ? - 숫자를 문자로 바꿔서 분리해주고, 분리한 다음 다시 숫자로 바꿔서 더해주자! 나의 답! 먼저 n 을 문자열로 변환시켜주기 위해 str 이라는 것을 썼다. str은 문자열로, int 는 정수열로 바꿔준다. 여기서 찾으면서 본 개념 정리! .. 2020. 9. 2. 2020.08.31_django_ sign_up, login, logout 2020.08.30_django_ sign_up, login, logout, user 탬플릿 태그 정리노트 오늘은 장고에서 제공하는 유저모델들을 통해 회원가입과 로그인 서비스를 구현해보자!!! 장고에서는 유저에 관한 것들을 지원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들을 우리가 만들었던 CRUD에 녹여보고, 앱마다 url을 관리해주기 위해 url 상속도 같이 포스팅 해볼 것이다. 그 때 보통 장고에서는 기능당 한 앱을 만든다고 했는데 왜? -- 현재 프로젝트에서 기능별로 정리해두면 고치기도 쉽고, 나중에 똑같은 기능이 다른 프로젝트에서 필요하게 되면, 앱단위로 가져와서 쓸 수 있기 때문에 앱의 재사용성도 높일 수 있다. 자 이제 그럼 로그인과 회원가입을 담당할 account 앱을 만들어주자. 먼저 가상환경을 실행하고 m.. 2020. 9. 1. 2020.08.29_git 레포지토리 생성 및_ 기초 2020.08.29_git 레포지토리 및 기초_ 정리노트 오늘은 우리가 사람들이 개발을 할 때 협업 도구로 사용하는 깃에 대해서 알아보고, 레포지토리라는 것을 생성해보고 어떻게 코드를 올리는 지 정리하는 노트! git 이란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명의 사람들과의 작업을 할 때 각각의 코드를 조율하기 위해 만든 소프트웨어! 우리는 깃을 통해 코드를 전으로 되돌릴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의 코드를 비교해볼 수 있다. 오늘은 내가 지금까지 적었던 , 알고리즘의 코드들을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생성해 올려보면서 여러 가지의 깃 기초 개념을 정리해보자!! 레포지토리 ( Repository ) 란 저장소를 뜻하는데 깃에서는 두 종류의 저장소를 제공한다. 원격 저장소 ( Remote Repository .. 2020. 8. 30. 2020.08.29_알고리즘_모의고사 2020.08.29_모의고사 알고리즘_정리노트 오늘은 또 나를 한끝차이로 괴롭힌 모의고사 알고리즘 정리노트! 문제를 잘읽자...( 벌써 몇번쨰 흑흐그극 ... ) 쨋든 이렇게 배열들이 주어졌을 때, 우리는 여기서 답을 가장 많이 맞춘 사람의 번호를 리스트로 리턴하면 된다! 여기서는 런타임 오류가 계속 떠서 나는 또 효율성인가.. ( 파이썬에 재귀문을 많이 쓰면 런타임 오류가 난다기에 ) 결국 코드가 정확하지 못한거였다..! ^ ^ 오늘도 우당탕탕 가보게씀미다.. 이번에는 드디어 enumerate를 써봤다 ! ㅎㅁㅎ for문과 if문을 한 줄로 바로 리스트에다가 담아줄 수가 있었지 ㅎㅎ 그 전에 big = max( cnt ) 에서 쓰인 max 함수와 함께 min을 알아보자! max 는 리스트나 반복가능한 .. 2020. 8. 29. 2020.08.27 _Django_ Static , Media _정리 django -- STATIC_URL , STATIC_ROOT , STATICFILES_DIR, Media file 정리 노트 이 포스팅에서 korinkorin.tistory.com/3 2020.08.20 django_CRUD_1 장고 첫 노트! 그래서 장고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방법부터 기본 CRUD를 찬찬히..해보자..아마.. 우당탕탕 예상.. 내가 사용하는 것은 vs code기 때문에 여기서 터미널을 열어주고 이렇게 python -m korinkorin.tistory.com 좀 더 자세히 공부하면 좋을 것 같아 따로 포스팅으로 공부! 여기서 보면 STATIC_URL , STATIC_ROOT 가 있는데 이 두 가지 기능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또 STATICFILES_DIR 는 무엇을 의.. 2020. 8. 28. 2020.08.26_알고리즘_완주하지 못한 선수 오늘은 이틀을 나를 괴롭혔던..(하지만 그냥 내가 조져짐..) 완주하지 못한 선수 정리노트!_! 복잡하지만, 잘 읽어보면 그냥 참가자 중에 한명만 완주를 못하는데 그 선수를 리턴하면 된다!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이 문장 주의! 하지만 이것은 경우의 수를 따로 빼면 되니까 조금만 고생했따. 제일 문제는.. 효율성이 가장 큰 문제였다. 사실 지금까지 알고리즘을 거의 for문과 if문의 중첩을 쓰던 나에게는 정말 큰 도전이었다.. 여기서 이게 무엇이냐. 보통 문제를 풀때 정답만 체크하는 시스템인 프로그래머스에서 정답의 정확성 뿐만 아니라 이번에는 코드의 효율성까지 테스트를 했다. 그래서 정말 오래걸렸다..ㅠㅠ 아무래도 습관적으로 같은 패턴으로 푼 내탓이겠지.. 많이 반성했다. 먼저 정확성 50 .. 2020. 8. 27. 2020.08.24_알고리즘_문자열 다루기 기본 오늘은 어쩌면 쉽게 풀어서 날먹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래도 함수의 기능을 써서 풀었으니 풀면서 쓴 함수들을 정리하고자 ! 포스팅 ! 문제는 간단하다! 하지만 이 기능들을 모른다면, 아마 어렵게 또 풀겠지!! 나도 알고 쓴 것과 모르고 검색해서 찾은 기능들을 정리해보자. 간단..? 해보이지만 우리는 여기서 if 에 쓰인 or, and , isdigit 라는 생소한 것들을 볼 수 있다.. ( 나만 생소한건지 모르겠지만 ) 하나하나 정리해보자! 우리가 if 옆에 and랑 or 쓰는 경우는, 조건이 2가지를 같이 만족해야하거나, 또 2가지 중 하나만 만족해도 된다고 할 때 쓴다. or 란 영어의 말대로 어떠한 경우 또는 어떠한 경우가 참일때 쓰는 기능이다. 두 가지중 하나만 참이면 되는 것! 여기서.. 2020. 8. 25. 2020.08.23_django_CRUD_2 오늘은 저번에 만들었던 create에서 나머지 read,update,delete 를 구현해보자! 먼저 저번프로젝트를 열어주고 닫았다 열었으니 ls를 찍어보면 저번에 생성했던 가상환경은 있지만, (myvenv) -- 활성화 상태가 안뜬다 ! 코드를 껐다 키면 가상환경도 같이 꺼지기 때문에 다시 활성화를 시켜주자. 저번에 켰던 방법 (mac 은 Scripts 대신 bin) 으로 활성화를 시켜주고, manage.py 가 있는 프로젝트로 경로를 옮겨 진행 다시 시작! 참고로 db.sqlite3 - 데이터 베이스 ( 모델을 생성하면서 자동생성) 이다 ! 먼저 런서버를 돌려주고 우리가 저번까지 했던 것이 잘돌아가는지 확인해보자. 이제 read를 구현할텐데, read는 우리가 글을 적어줬을 때, 그 글의 세부내용으로.. 2020. 8. 24. 2020.08.22_알고리즘_예산 2020.08.22__예산 정리노트 오늘은 예산이란 알고리즘을 풀어보았다! 진짜 겁나 우당탕탕..풀어서 정리가 필요하다 느껴서 알고리즘 2일째 포스팅 일단 문제 이해부터 제대로 못해서 쓸모없는거만 붙잡고 있었다. 내가 헷갈렸던 부분은 예산이 9라면 정확히 예산을 9원을 다써서 최대로 지원해줄 수 있는 부서인지 알고 9원을 다쓰는 경우의 수를 구하려고 애썼던 것 같다. 하지만 나중에 깨달은 사실 -정확히 예산을 전부 써주는 것이 아니라, 각 부서에서 신청한 예산을 정확하게 지원하였을 때, 예산안에서 몇 개의 부서를 최대로 지원해주느냐가 문제의 포인트였다! 그렇게 .. 감을 새벽에 자다 일어나서 잡아서 우당탕탕 풀었다. 그래서 푼 맨 처음 풀이... 일단 너무 복잡해서 내가 생각한대로 생각하면, 빈 리스트를.. 2020. 8. 22. 이전 1 ··· 8 9 10 11 12 다음